article

[씬소식] 모노극 <그라운디드> 전석 매진, 전석 기립! 압도적 몰입감, 숨막히는 90분!

scenestealer_ 2020. 5. 21. 05:29

진짜와 가짜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절대적으로 정당한 것이 존재하는가?

 

모호한 경계와 존재의 양면성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

모노극 <그라운디드>

 

압도적 몰입감숨막히는 90

전석 매진전석 기립이 시대에 꼭 필요한 담론!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기대를 모은 모노극 <그라운디드>(제작우란문화재단프로젝트그룹 일다)가 관객들의 눈과 귀그리고 마음까지 사로잡으며 성공적인 출발을 했다

 

미국 극작가 조지 브랜트(George Brant)의 대표작인 모노극 <그라운디드>(GROUNDED)는 에이스급 전투기 조종사가 예상치 못한 임신으로 라스베이거스의 크리치 공군기지에서 군용 무인정찰기(드론)를 조종하는 임무를 맡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주인공은 스크린을 통해 지구 반대편에 있는 전장을 감시하며 적들을 공격하는 한편퇴근 후에는 가족과 함께 평범한 시간을 보내는 일상의 괴리에 점차 혼란을 느끼게 된다.

 

이번 한국 초연은 명확한 주제의식과 그것을 완벽하게 구현해낸 연출무대미술기술연기력으로 관객들을 압도했다처음으로 모노극에 도전한 차지연은 완벽하게 파일럿으로 변신한 모습으로 무대에 올라 자신감과 명예로 가득한 캐릭터가 맞닥뜨리게 된 균열과 그로 인한 심리적인 변화와 영향을 누구보다 잘 표현했다는 평을 얻었다조지 브랜트의 간결하지만 속도감 있는 대사를 때로는 부드럽게강렬하게 묘사하며 90분간 관객들을 몰입 시켜 대체 불가 배우의 진면목을 입증했다공연을 본 관객들은 반드시 고민해봐야 할 시대의 담론” (멜론티켓 배*****), “이제는 늘 ‘Eyes in the sky’를 염두해 두고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의 현실을 뾰족하게 찌르는 느낌” (멜론티켓 Ha*), “놓칠 수 없는 몰입도와 텅빈 무대가 꽉 채워지는 듯한 환상” (멜론티켓 leon**), 그려지는 장면에 압도돼서 숨이 막힐 정도” (멜론티켓 Re**s)라고 호평했다

 

 

특히 이번 <그라운디드>는 각 디자인 파트의 협업과 치밀한 텍스트 분석이 빛을 발했다피라미드의 꼭지점은 하늘을 향해 있고죽은 자의 무덤이기도 하다무대는 여기서 착안해 피라미드를 구조적으로 비틀어 엎어진 사각뿔 형태로 구현했다무대 중앙으로 모인 소실점피라미드 밑면이 드러난 무대는 마치 스크린 속에 있는 배우를 감시하는 듯한 심상을 불러일으키며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가른다또한 여러 각도에 위치한 조명은 무대 양 벽면에 부딪히며 다양한 그림자를 파생시키는데점차 분산되는 인물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파일럿의 심리 변화를 밀도 있게 좇는 이머시브 사운드 시스템 역시 이 작품의 백미로 꼽힌다객석을 두르는 수십 대의 스피커를 구의 형태로 배치한 사운드는 드라마의 흐름에 따라 창공트레일러파일럿의 내면으로 관객들의 심상을 유도한다

 

 

2013년 초연 이후 전 세계 19개국, 12개 언어, 140개 이상의 프로덕션에서 공연된 이 작품은 2013 가디언런던 이브닝 스탠다드 ‘올해의 연극 TOP10’에 선정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모노극 <그라운디드>는 공격의 무기이자 방어의 수단으로 전쟁의 새로운 무기가 된 드론의 양면성에 착안해 하나의 존재가 가진 경계와 양면성을 다룬 밀도 높은 대본으로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고민해야 할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2020년 우란시선 첫 번째 기획 공연 모노극 <그라운디드>는 문화예술인재가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자 노력해온 우란문화재단과 다년간 파트너십을 맺어 온 프로젝트그룹 일다가 공동으로 기획한 작품으로 2019년 초연된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에 이은 두 번째 모노극이다한 청년의 심장이식과정을 통해 생의 순간에 대한 심도 있는 메시지를 전했던 모노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에 이어 모노극 <그라운디드>는 회색의 익명성을 바라보는 파일럿의 시선을 통해 관객들에게 불편함과 동시에 강렬한 여운을 안겨준다.  

 

 

모노극 <그라운디드>는 오는 5월 24일까지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에서 공연한다. (공연 문의 02-794-0923)

 

 

기사 : 이은지 에디터(scenestealer2018@gmail.com)